■ Linux File 압축 백업
- USB 여유공간 확인
 
# df -Th

- 사전에 저장에 사용할 디바이스 (“bigsave-sdb1”)는 마운트해 놓은 상태
 
- 압축 백업 진행
 
■ 파일 백업 종류별 특징
- 압축 백업 : (tar -czpf) 압축하여 저장, CPU 사용량 증가, 작은 크기의 압축 시 유용
 - 복사 백업 : (cp -R) 복사 기능을 이용한 백업, 압축하지 않아 여유 용량을 충족시켜야함
 - 증분 백업 : (rsync) 이전의 백업파일과 현재 파일과의 변동사항만 비교하여 백업, 미압축
 
- 2달 간격 압축 진행
 
# mkdir "백업 디렉토리 이름"
# chmod 700 "백업 디렉토리 이름"

- 백업 경로 생성
 
# cd/"스크립트 작성 경로"
# vim backup.sh 
- backup.sh 작성 내용
 
#!/bin/bash
tar -czpf "백업 디렉토리/백업 파일명".'date + %Y%m%d%H%M%S'.tgz "백업파일디렉토리 1>/dev/null 2> /dev/null
find "백업 디렉토리 -type -f mtime + 365 | sort | xargs rm -f 

- 파일 크기가 크지 않아 1년의 보관 기간 적용, 하루마다 백업 진행
 
- 권한 설정 및 실행
 
# chmod 700 backup.sh
# ./backup.sh

